Erlang Web Server V0.1 앞서서 설명했던 각 모듈을 결합하여 Web Server를 구성한다. 일단 이 WebServer는 외부 CGI 및 서버사이드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기능은 없다. 웹서버상에 미리 만들어진 HTML등의 웹페이지를 보여주는 기능만 갖는다. < 크롬 브라우저에서 Erlang Web server 접속 화면 > 192.168.0.125 번 서버에 3001.. Erlang 2012.04.12
Erlang List 변수 처리-로직 변경 지난번에 만들었던 리스트 변수는 Chat-Server에서 Accepted Socket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였다. 이번에는 Web-server에서 해당 Session에서 HTTP Header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려고 하였다. Web-server에는 Request Session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각 Sesion별 HTTP Header 정보를 저장할 변수가 Se.. Erlang 2012.04.09
나.는..꼼.수.다 천안함이 침몰한 곳이 내가 군생활했던 여단 예비대대 부대의 앞바다이고, 그곳에서 IBS훈련을 했었다 < 백령도 유격훈련장 > 영상촬영을 했던 곳은 유격교장 바로 옆이고, 그곳을 지나면 폭파훈련장이 있던 곳이라 훈련을 위해 지나다녔던 곳이다. 대청소와 백령도 사이에는 연봉바.. 내 생각들 2012.04.06
Erlang 리스트에서 검색값 가져오기 앞의 포스트에서 언급한것 처럼 리스트에 값을 저장한 후 다시 이 값을 꺼내려고 한다. 먼저, 리스트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번째 리스트 : ["METHOD", {"GET", "/index.html", "PARAM1"}] 두번째 리스트 : ["HOST", {"192.168.0.125", "3001"}] 세번째 리스트 : ["ACCEPT", "123"], ["PARAM", {"123", .. Erlang 2012.04.04
Erlang Parsing 지난번에 list4.erl 파일처럼 리스트형 변수처리 방법을 확인해 보았다. 이 list4.erl 과 같은 RPC형 리스트형 변수를 활용하여 client brower의 Request를 처리하는 Logic을 만들어 보았다. 일단 Web Server의 네트웍 기본 Logic은 생략하고 HTTP Header 정보를 Parsing하고 저장하는 부분이 설명한다. 이후 다음 .. Erlang 2012.04.04
공유, 설득 조선의 위대한 점은 정체성이 있는 체계적 시스템에 의해 운용되는 국가라는 점이다. 조선왕조 500년! 빈틈도 많고 허점도 많은 시스템이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려 500년이나 버텨냈다. 역사적으로 한 정권이 실제 운영의 주체로써 500년이나 버틴 사례는 세계사에서 그리 흔치 않다... 내 생각들 2012.03.12
Erlang List 변수 처리 Erlang을 들여다 본지가 그리 오래되진 않았지만, 짧은 기간동안 Erlang에 대해 소감?은 이렇다. 장점 : a. 프로세스 생성이 매우 간단하다. b. 통신 프로그램 생성이 매우 간단하다. c. 변수가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간 충돌 및 메모리 덤프와 같은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d. 코딩량이.. Erlang 2012.03.05
CentOS APM 설치기 APM설치에 이렇게 시간이 많이 걸릴줄 몰랐다 ㅡㅡ; 어쨌든 삽질끝에 다행히 성공하여 다음을 위해 설치기 남김.... 1. Apache 2.2.22 버전 설치 Apache의 최신버전은 2.4 버전이지만, 이 버전으로 설치시 계속 오류가 발생하여 검색질을 해보니 2.4 버전의 소스에 버그가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2.2.. MY IT 2012.02.25
공정무역 얼마전에 아프리카에서 열린 개발회의는 미국에 대한 성토의 장이 되고 말았다. 세계 최빈국이 밀집한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면화보다 막대한 보조금으로 미국에서 생산된 면화가 더 싼 덤핑에 대한 반발이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에릭 오르세나의 "코튼로드"에서 볼 수 있다. .. 내 생각들 2012.02.20
사파티스타 < 미국-멕시코 국경 장벽 > 매년 수많은 멕시코인들이 미국 국경을 넘다가 죽는다고 한다. 국경선이 너무 길어(3200Km) 때로는 시체가 백골이 될때까지 발견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미국은 이 국경선에 대규모의 무인 차량과 무인정찰기까지 배치하고 있고, 2005년 부터 시작된 .. 내 생각들 2012.02.18